우에모토 히로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에모토 히로키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내야수였다. 고등학교 시절 전국 대회 우승을 경험하고, 아시아 AAA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 최우수 수비수상을 수상했다. 2008년 NPB 드래프트에서 한신 타이거스에 3순위로 지명되어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으며, 2014년 한신 선수회 회장을 역임했다. 2020년 자유 계약 선수로 공시된 후 은퇴를 발표했다. 2023년에는 한신 타이거스 코치로 복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로시마현 출신 야구 선수 - 다니시게 모토노부
다니시게 모토노부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 감독, 해설가로, NPB 역대 최다 경기 출장 기록을 보유하고 골든 글러브상을 6회 수상한 리그 대표 포수이다. - 히로시마현 출신 야구 선수 - 무라타 조지
무라타 조지는 1967년 도쿄 오리온스에 입단하여 1990년 은퇴할 때까지 활약하며 통산 215승을 기록하고, 1985년 컴백상을 수상했으며, 은퇴 후 야구 해설가와 지도자로 활동하다 2005년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고 2022년 사망했다. - 히로시마현 출신 - 이케다 하야토
이케다 하야토는 일본의 대장성 관료이자 정치인으로, 총리대신 재임 시절 '소득 배증 계획'을 추진하여 일본의 고도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며, 미일 관계 강화와 한일 국교 정상화 협상 등 외교 분야에서도 활동했다. - 히로시마현 출신 - 토미나가 미나
토미나가 미나는 1971년 아역 배우로 데뷔하여 1973년부터 성우로 활동하며, 《은하 유랑 바이팜》, 《마법의 요정 펠샤》 등에서 활약했고, 1998년부터 《사자에상》에서 이소노 카츠오 역을 맡고 있으며, 2018년 성우 어워드에서 다카하시 카즈에 기념상을 수상했다. - 한신 타이거스 선수 - 니시 준야
니시 준야는 한신 타이거스 소속 우완 오버스로 투수이며, 2019년 드래프트에서 1순위로 지명되어 입단하여 2021년 프로 데뷔 첫 등판에서 승리했고, 2022년에는 투타에서 활약했다. - 한신 타이거스 선수 - 다케야스 다이치
다케야스 다이치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투수로서 한신 타이거스와 오릭스 버펄로스에서 활동했으며, 2017년 1군 데뷔 후 첫 승을 거두고 2019년에는 완봉승을 기록했으며, 2024년부터는 구마모토 골든 락스의 코치로 활동한다.
우에모토 히로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선수 정보 | |
![]() | |
이름 | 우에모토 히로키 (上本 博紀) |
출생일 | 1986년 7월 4일 (세) |
출생지 |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 |
포지션 | 내야수 / 코치 |
투구/타석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2008년 드래프트 3위 |
데뷔 | 2010년 7월 8일 |
마지막 출장 | 2020년 9월 26일 |
신장 | 173 |
체중 | 66 |
클럽 경력 | |
선수 | 한신 타이거스 (2009–2020) |
코치 | 한신 타이거스 (2024–현재) |
통산 성적 (2020 시즌 종료 시점) | |
타율 | .265 |
홈런 | 30 |
안타 | 522 |
타점 | 161 |
도루 | 94 |
감독/코치 경력 |
2. 선수 경력
우에모토 히로키는 2008년 NPB 드래프트에서 한신 타이거스에 3순위로 지명되어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2] 2009년 웨스턴 리그 공식전 88경기에 출전, 리그 3위인 16개의 도루를 기록했지만, 타율은 .241로 규정 타석 도달자 중 가장 낮았다.
2010년 7월 8일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전(한신 고시엔 구장)에서 1군 공식전에 처음 출전했다. 다음 날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전에서 첫 도루와 득점을 기록했고, 8월 25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전(교세라 돔 오사카)에서 첫 안타와 타점을 기록했다. 9월 5일에는 "8번·2루수"로 선발 출장, 맹타상을 기록했다. 그해 정규 시즌 28경기에 출전, 타율 .333, 2타점, 2도루, 11득점을 기록했다.
2011년 7월 1일 요코하마전(구라시키 머스캣 스타디움)에서 1군 첫 홈런을 기록하는 등 시즌 3홈런을 기록했다. 2012년에는 오픈전 수비 중 왼쪽 팔꿈치 부상으로 7월에 합류했지만, 62경기 출전, 1홈런, 13개의 2루타, 13개의 도루를 기록했다.
2013년 2월 WBC 일본 대표 평가전(교세라 돔 오사카)에 출전했다가 부상을 당해 수술을 받았다. 8월에 1군에 복귀하여 프로 첫 3루수 수비를 맡았지만, 25경기 출전에 그쳤다.
2014년 한신 선수회 제15대 회장으로 취임[16], 프로 첫 공식전 개막을 1군에서 맞았다. 니시오카 츠요시 부상 이후 "1번·2루수"로 선발 정착, 4월 10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전에서 프로 첫 사요나라 안타를 기록했다.[17] 정규 시즌 최다 131경기 출전, 규정 타석에 도달, 타율 .276, 출루율 .368, 7홈런, 38타점, 20도루를 기록했다.
2015년 7월 4일 DeNA전에서 초구 선두 타자 홈런을 기록했지만,[21] 8월과 9월에 부상을 당했다. 2016년에는 주전 경쟁에서 밀려 2군으로 내려가기도 했고, 6월에는 허리 통증으로 한 달간 출전 선수 등록이 말소되었다. 45경기 출전, 2홈런, 타율 .257을 기록했고, 시즌 후 등번호를 '''00'''으로 변경했다.[30]
2017년 전반기 3할 타율을 기록하며 주전 2루수 자리를 되찾았다. 8월 1일 히로시마전에서 프로 첫 런닝 홈런을 기록했고, 9월에는 월간 타율 .435를 기록하며 2년 만에 센트럴 리그 규정 타석을 채웠다. 2018년에는 왼쪽 무릎 부상으로 수술을 받고 재활, 20경기 출전, 타율 .422를 기록했다. 국내 FA권 취득 요건을 충족했지만, 권리 행사 없이 잔류했다.[42]
2019년에는 5월 3일 DeNA전에서 시즌 유일한 홈런을 기록했고, 6월에는 프로 첫 1루 수비를 맡기도 했다. 62경기 출전, 타율 .192, 1홈런, 6타점으로 부진, 연봉 4800만엔 (1200만엔 감액)에 계약했다.[45] 2020년에는 25경기 출전, 타율 .171에 그쳤고, 10월 말 전력 구상에서 제외되어 타 구단에서 현역 생활을 이어가고자 했으나, 12월 21일 은퇴를 선언했다.[53][54]
2023년 10월 25일, 2024 시즌 코치로 타이거스에 복귀한다고 발표되었다.[10]
2. 1. 프로 입단 전
우에모토는 후쿠야마 시립 마쓰나가 초등학교 4학년 때 "마쓰나가 소프트볼 클럽"에서 소프트볼을 시작했다. 중학생 시절에는 지역의 연식 야구 클럽팀 "마쓰나가 양키스"에 소속되어 1학년 가을부터 "1번·2루수"로 선발 자리를 굳혔다. 3학년 때는 연간 약 60경기의 리그전에서 122개의 도루를 기록했다.[12]고료 고등학교 진학 후에는 고시엔 구장에서 열리는 춘·하계 전국 대회에 1학년 여름부터 3학년 봄까지 4시즌 연속으로 출장했다. 2학년 봄의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에서는 1번 타자로 출전해 1학년 선배인 니시무라 겐타로, 시라하마 유타 등과 함께 우승을 경험했다. 이 대회에서 12안타를 기록했는데, 이는 선발 대회 한 대회 개인 최다 안타 2위 타이기록이다. 같은 해 여름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전국 대회에서는 2회전에서 패했지만, 선두 타자 홈런을 포함한 10타석 연속 출루(6타수 6안타 4사사구 1홈런)를 기록했다. 대회 후 아시아 AAA 선수권에서 일본 대표로 출장하여 최우수 수비 선수상을 수상했다. 3학년 봄 선발 대회에는 주장을 맡아 포수 부족의 팀 사정으로 "3번·포수"로 출장했다. 여름 선수권 히로시마 대회에는 "1번·2루수"로 출장하여 준준결승까지 진출했지만, 히로시마 상업 고등학교에 패하며 5시즌 연속 전국 대회 출전은 무산되었다.[12]
와세다 대학교 스포츠 과학부 진학 후에는 도쿄 6대학 야구 리그전에 1학년 봄부터 정규 2루수로 출장했다. 재학 중 리그전 전 104경기에 풀 이닝 출장했고, 4학년 때는 주장을 맡았다. 리그전 통산 타율 .265(411타수 109안타), 4홈런, 46타점, 39도루를 기록했고, 2루수로 베스트 나인을 5회 수상했다. 4학년 봄 리그 게이오기주쿠 대학교와의 1차전에서는 홈 스틸을 성공시키기도 했다. 또한, 재학 중 제35회 미·일 대학 야구·제3회 세계 대학 야구 대표, 제36회 미·일 대학 야구 대표, 제4회 세계 대학 야구 대표로 선출되어, 어느 대회에서나 정규 2루수로 활약했다. 동기로는 이쿠시마 다이스케가 있었다.[13]
2. 2. 한신 타이거스 시절
한신 타이거스는 2008년 NPB 드래프트에서 우에모토를 3순위로 지명했다.[2]2009년 웨스턴 리그 공식전 88경기에 출전, 리그 최종 규정 타석에 도달했다. 리그 3위인 16개의 도루를 기록했지만, 타율은 .241로 규정 타석 도달자 중 가장 낮았다.
2010년 7월 8일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전(한신 고시엔 구장) 8회 초부터 2루수로 1군 공식전에 처음 출전했다. 다음 날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전에서는 대주자로 2루 도루를 시도하다 상대 포수의 송구가 몸에 맞아 외야로 굴러가는 사이 홈으로 들어와 첫 도루와 득점을 동시에 기록했다. 8월 25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전(교세라 돔 오사카)에서 우메즈 토모히로에게 적시타를 얻어 첫 안타와 타점을 기록했다. 9월 5일 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 경기에서는 "8번·2루수"로 선발 출장, 맹타상을 기록했다. 그해 정규 시즌 28경기에 출전, 타율 .333, 2타점, 2도루, 11득점을 기록했다.
2011년 7월 1일 요코하마전(구라시키 머스캣 스타디움)에서 오하라 신지에게 1군 첫 홈런, 7월 27일 주니치 드래곤스전(고시엔)에서 첸 웨인(모두 좌완 투수)에게 만루 홈런을 쏘아 올리는 등, 시즌 3홈런을 기록했다.
2012년 오픈전 수비 중 왼쪽 팔꿈치 안쪽 부인대 손상으로 7월 1일부터 공식전에 합류했다. 62경기 출전, 1홈런에 그쳤지만, 2루타는 7개에서 13개, 도루는 8개에서 13개로 늘었다. 공식전에서 처음으로 3루타도 기록했다.
2013년 2월 26일 한신과 WBC 일본 대표 평가전(교세라 돔 오사카)에 "1번·유격수"로 선발 출장했다. 6회 초 수비에서 사카모토 하야토의 플라이를 쫓다 좌익수 이토 하야타와 충돌, 오른쪽 눈 주변 열상과 왼쪽 발목 전거비 인대 손상을 입었다.[14] 6월 5일 2군 연습에 합류했지만, 왼쪽 발목 통증이 재발, 6월 24일 왼쪽 발목 관절 클리닝 수술을 받았다.[15] 8월 29일 요미우리 자이언츠(거인)전(도쿄 돔)에서 선발로 1군 복귀, 프로 첫 3루수 수비를 맡았다. 공식전에는 25경기 출전에 그쳤다.
2014년 한신 선수회 제15대 회장 취임[16]과 함께, 프로 첫 공식전 개막을 1군에서 맞았다. 니시오카 츠요시 부상 이후 "1번·2루수"로 선발 정착했다. 4월 10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전(고시엔) 9회 말 호르헤 소사에게 프로 첫 사요나라 안타를 기록했다.[17] 5월 3일 야쿠르트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수비 중 유헤이 타구에 오른손 엄지말절골 골절[18][19]을 입었지만, 세 · 퍼시픽 교류전부터 복귀했다. 정규 시즌 최다 131경기 출전, 규정 타석에 도달, 타율 .276, 출루율 .368, 7홈런, 38타점, 20도루를 기록했지만, 센트럴 리그 2루수 중 최다 17실책을 기록했다. 11월 11일 "일본 프로 야구 80주년 기념 경기"에서 한신·거인 연합팀 "2번·2루수"로 선발, 풀타임 출전, 4타수 2안타 2타점을 기록했다.[20]
2015년 7월 4일 DeNA전(요코하마) "1번·2루수" 선발, 1회 초 야마구치 슌에게 초구 선두 타자 홈런을 기록했다.[21] 8월 4일 히로시마전(마쓰다 스타디움) 수비 중 다이빙 캐치 시도 중 허리와 엉덩이 관절 강타[22], 왼쪽 상전장골극 균열 골절 진단[24]을 받았다. 8월 26일 1군 복귀[25], 9월 12일 왼쪽 허벅지 뒤 근육 파열[26]되었다. 108경기 출전, 실책 12개로 감소했지만, 타격·주루 성적은 전년보다 떨어졌다.
2016년 춘계 캠프부터 니시오카, 다이와와 주전 2루수 경쟁[27]을 했다. 공식전 개막 후 니시오카 선발 출장이 이어졌다. 우에모토는 대타로 2경기 기용 후, 4월 3일부터 5월 7일까지 2군 조정[28]을 받았다. 6월 1일 도호쿠 라쿠텐 골든 이글스전(라쿠텐 Kobo 스타디움 미야기) 타격 연습 중 허리 통증, 한 달간 출전 선수 등록 말소[29]되었다. 45경기 출전, 2홈런, 타율 .257을 기록했다. 시즌 후 등번호 '''00'''으로 변경했다.[30]
2017년 전반기 3할 타율을 기록하며 주전 2루수 자리를 되찾았다. 8월 1일 히로시마전(마쓰다) 7회 초 마츠야마 류헤이가 외야 펜스에 격돌, 프로 첫 런닝 홈런을 기록했다. (한신 선수 19년 만[31]) 9회 초 이마무라 타케시에게 삼진 때 아이자와 츠바사와 접촉, "2루 송구 방해"로 수비 방해 아웃[32]됐다. 9월 월간 타율 .435, 2년 만에 센트럴 리그 규정 타석 도달했다. 9월 30일 · 10월 1일 거인 2연전 "2번·2루수" 선발, 1차전 1회 초 하타케 세이슈 투구에 왼쪽 측두부 맞고 퇴장[34], 다음 날 5회 초 하타케에게 시즌 9호 홈런[35]을 기록했다. 125경기 출전, 출루율 .366, 장타율 .403을 기록했다. 시즌 후 11월 9일 오른쪽 발목 관절 클리닝 수술[36]을 받았다.
2018년 클리닝 수술 영향으로 춘계 캠프 2군 조정했다. 토리타니 2루수 전향, 우에모토는 오픈전부터 2루수로 1군 복귀[37]했다. 개막 초 토리타니·니시오카와 병용, 4월 하순부터 "1번·2루수" 선발 정착했다. 5월 1일 DeNA전부터 4일 주니치전(고시엔)까지 3경기 연속 맹타상 기록 (한신 선수 2014년 맷 머튼 이후), 시즌 타율 .422[38]였다. 5일 주니치전(고시엔) 1회 말 2루 도루 중 왼쪽 무릎 부상, 도중 교체[39], 왼쪽 무릎 전방 십자 인대 손상, 6월 인대 재건 수술[41]을 받았다. 20경기 출전, 타율 .422를 기록했다. 국내 FA권 취득 요건 충족, 권리 행사 없이 잔류[42]했다.
2019년 왼쪽 무릎 수술 영향 속, 춘계 캠프부터 1군 동행했다. 5월 3일 DeNA전(고시엔) "2번·2루수" 선발, 6회 말 쿠니요시 유키 초구에 시즌 유일 홈런 (레이와 시대 NPB 1군 한신 일본인 선수 첫 홈런[43])을 기록했다. 6월 29일 주니치전(나고야 돔) 8회 말부터 프로 첫 1루 수비[44]를 맡았다. 62경기 출전, 타율 .192, 1홈런, 6타점으로 부진했다. 국내 FA권 행사 없이, 추계 캠프 3년 만에 참가, 연봉 4800만엔 (1200만엔 감액)에 계약했다.[45]
2020년 춘계 캠프부터 1군 동행, 정규 시즌 개막 후 1, 2군을 오갔다. 좌완 투수 상대 선발/대타 기용[46], 25경기 출전, 타율 .171[47]에 그쳤다. 10월 말 전력 구상 제외, 타 구단 현역 속행 모색 보도[48][49]되었다. 11월 6일 후쿠도메 코스케, 노미 아츠시와 퇴단 발표[50], 1군 최종전 출전 고사, 11월 1일 웨스턴 리그 최종전(타마홈 스타디움 치쿠고 소프트뱅크전)이 마지막 출전[51]이었다. 12월 2일 자유 계약 선수 공시[52], 타 구단 제의 없이 12월 21일 은퇴[53][54]했다.
2023년 10월 25일, 2024 시즌 코치로 타이거스에 복귀한다고 발표되었다.[10]
3. 은퇴 후
2020년 12월 2일 자유 계약 선수가 되었고,[8] 같은 해 12월 21일에 은퇴를 발표했다.[9]
은퇴 후에는 한신 구단 직원으로서 구단 본부 진흥부에 배속되었다. 2021년부터 2년간 "타이거스 아카데미 베이스볼 스쿨" 전속 코치로 활동했다. 현역 시절 팀 동료였던 이마나리 료타가 구단 공식 온라인 숍 "T-SHOP"에서 MC를 맡는 공식 굿즈 소개 동영상 라이브 방송 "라이브 쇼핑"에 게스트로 수시 출연했다. 야구 해설자로서 한신 관련 스카이A 중계에도 출연하고 있다.
2022년 NPB 12구단 주니어 토너먼트에서는 한신 타이거스 주니어 팀 감독으로 팀을 첫 우승으로 이끌었다. 2023년에는 노하라 유야의 후임으로 한신 타이거스 Women의 제2대 감독을 맡아 제19회 전일본 여자 경식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 첫 우승을 이끌었다.
2023년 10월 25일, 2024년 시즌부터 한신 구단 코치로 취임한다는 기자 회견이 열렸고,[10] 11월에 고치현 아키시에서 열리는 가을철 캠프부터 지도를 맡을 예정이라고 발표되었다. 직함은 2군 야수 코치이며, 등번호는 '''71'''이다.
2024년 10월 21일, 2025년 시즌부터 1군 타격 코치로 승격될 것이 발표되었다.
4. 선수로서의 특징
선구안이 좋고 볼 존 스윙률이 낮은 것이 특징이다.[64] 2015년에 타격 부진을 겪은 이유에 대해, "(희생타나 진루타와 같은 잔기술이 필요하다는) 2번 타자로서의 선입견에 사로잡혀 자잘하게 시도하다 실패했다"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는 기용되는 타순에 관계없이 (배트를) 강하게 휘두르는 것을 더 의식하고 싶다"라고 말했다.[65]
한신 타이거스의 주전 2루수로 자리 잡았던 2014년과 2015년에는 센트럴 리그 2루수로서 시즌 최다 실책 수를 기록했다. 2015년 한신 가을 캠프에서는 잦은 부상을 우려한 신임 코칭 스태프와 고등학교 선배이자 과거 팀 동료였던 가네모토 도모아키 신임 감독에 의해 "복수 포지션 제도 구상" 하에 신체 부담을 줄이기 위해 외야 수비 연습에도 임했다.[66] 이듬해 2016년 2군 조정 중에는 당시 1군 외야진이 부족했던 점[67] 등을 배경으로 좌익수로서 웨스턴 리그 공식전에 선발 출장하기도 했다.[68]
고등학교 시절 감독인 나카이 테츠유키는 "분명히 천재다. 프로로서는 몸이 작지만, 그것을 보충하고도 남을 정도로 야구 IQ가 높다"라고 평가했다.[62] 나카이는 우에모토의 은퇴 보고를 받은 후, "저 (작은) 몸으로 12년간 잘 했다. (야구 선수라면) 누구에게나 은퇴하는 날이 오지만, 우에모토는 부상과의 싸움이 계속되었기 때문에 '부상만 없었다면...'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63]
5. 인물
우에모토 히로키는 은퇴 후 한신 구단 직원으로 구단 본부 진흥부에 배속되었다. 2021년부터 2년간 이 부서가 운영하는 "타이거스 아카데미 베이스볼 스쿨"의 전속 코치로 활동했다. 현역 시절 팀 동료였던 이마나리 료타가 구단 공식 온라인 숍 "T-SHOP"에서 MC를 맡는 공식 굿즈 소개 동영상 라이브 방송 "라이브 쇼핑"에 게스트로 수시 출연했다. 또한, NPB 오프 시즌(자율 훈련부터 봄철 캠프까지)에는 야구 해설자로서 한신 관련 스카이A 중계에 출연하고 있다.
2022년 NPB 12구단 주니어 토너먼트에서는 한신 타이거스 주니어 팀 감독으로 팀을 첫 우승으로 이끌었다. 2023년에는 노하라 유야의 후임으로 한신 타이거스 Women의 제2대 감독을 맡아 제19회 전일본 대회에서 첫 우승을 이끌었다.
2023년 10월 25일, 2024년 시즌부터 한신 구단 코치 취임 기자 회견이 열렸고, 2023년 11월 고치현아키시 가을철 캠프부터 지도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발표되었다. 직함은 2군 야수 코치이며, 등번호는 '''71'''이다. 2024년 10월 21일에는 2025년 시즌부터 1군 타격 코치로 승격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그의 동생 타카시는 히로키에 이어 히로시마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메이지 대학에 진학했다. 2013년 9월 18일 히로시마 대 한신전(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에 수비 교체로 출전하여 형제가 함께 출전했다. 7회초 타카시가 유격수 수비를 맡은 후 히로키도 2루수로 출전했는데, 이는 야구 인생 첫 경험이었다고 한다.[69] 히로키와 타카시는 모두 히로시마 고등학교 재학 중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에 출전했다. 히로키는 2003년 도카이대 부속 고후 고등학교전, 타카시는 2008년 요코하마 고등학교전에서 선두 타자 홈런을 기록했다.[70]
2012년 말 지인 소개로 교제한 일반 여성과 2014년 1월 25일 결혼했다. 우에모토는 여성이 호빵맨의 캐릭터 도킨쨩을 닮았다고 밝혔다.[71]
6. 상세 정보
우에모토 히로키는 은퇴 후 한신 구단 직원으로 구단 본부 진흥부에 배속되어, 2021년부터 2년간 "타이거스 아카데미 베이스볼 스쿨"의 전속 코치로 활동했다.[72]
현역 시절 팀 동료였던 이마나리 료타가 "T-SHOP"(구단 공식 온라인 숍)에서 MC를 맡는 "라이브 쇼핑"에 게스트로 출연하기도 했고, 야구 해설자로서 한신 관련 스카이A 중계에 출연하고 있다.[72]
2022년 NPB 12구단 주니어 토너먼트에서 한신 타이거스 주니어 팀 감독으로 팀을 첫 우승으로 이끌었고,[72] 2023년에는 한신 타이거스 Women의 제2대 감독을 맡아 제19회 전일본 대회에서 첫 우승을 이끌었다.[72]
2023년 10월 25일, 2024년 시즌부터 한신 구단 코치로 취임했으며, 고치현아키시 가을 캠프부터 지도를 시작했다. 2군 야수 코치를 맡았고, 등번호는 '''71'''이다.[72] 2024년 10월 21일, 2025년부터는 1군 타격 코치로 승격될 것이 발표되었다.
6. 1. 연도별 타격 성적
연도 | 소속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자 | 희생 번트 | 희생 플라이 | 볼넷 | 고의사구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2010년 | 한신 | 28 | 16 | 15 | 11 | 5 | 1 | 0 | 0 | 6 | 2 | 2 | 1 | 0 | 0 | 1 | 1 | 0 | 1 | 1 | .333 | .375 | .400 | .775 |
2011년 | 67 | 131 | 108 | 20 | 27 | 7 | 0 | 3 | 43 | 13 | 8 | 3 | 7 | 2 | 14 | 0 | 0 | 27 | 0 | .250 | .331 | .398 | .729 | |
2012년 | 62 | 224 | 197 | 22 | 50 | 13 | 1 | 1 | 68 | 7 | 13 | 4 | 2 | 1 | 19 | 0 | 5 | 46 | 3 | .254 | .333 | .345 | .678 | |
2013년 | 25 | 70 | 59 | 13 | 15 | 3 | 0 | 2 | 24 | 8 | 2 | 1 | 2 | 0 | 8 | 0 | 1 | 19 | 1 | .254 | .353 | .407 | .760 | |
2014년 | 131 | 600 | 515 | 90 | 142 | 28 | 5 | 7 | 201 | 38 | 20 | 10 | 7 | 2 | 70 | 0 | 6 | 97 | 7 | .276 | .368 | .390 | .758 | |
2015년 | 108 | 452 | 375 | 44 | 95 | 18 | 1 | 4 | 127 | 31 | 19 | 11 | 29 | 0 | 44 | 1 | 4 | 69 | 1 | .253 | .338 | .339 | .677 | |
2016년 | 45 | 113 | 101 | 18 | 26 | 7 | 0 | 2 | 39 | 8 | 3 | 0 | 0 | 0 | 12 | 0 | 0 | 14 | 0 | .257 | .336 | .386 | .722 | |
2017년 | 125 | 488 | 409 | 57 | 116 | 20 | 1 | 9 | 165 | 38 | 16 | 1 | 23 | 2 | 50 | 0 | 4 | 71 | 7 | .284 | .366 | .403 | .769 | |
2018년 | 20 | 53 | 45 | 7 | 19 | 3 | 0 | 1 | 25 | 6 | 4 | 0 | 1 | 1 | 6 | 0 | 0 | 8 | 1 | .422 | .481 | .556 | 1.037 | |
2019년 | 62 | 119 | 104 | 10 | 20 | 4 | 0 | 1 | 27 | 6 | 5 | 0 | 3 | 1 | 11 | 0 | 0 | 37 | 1 | .192 | .267 | .260 | .527 | |
2020년 | 25 | 51 | 41 | 2 | 7 | 3 | 0 | 0 | 10 | 4 | 2 | 2 | 5 | 1 | 4 | 0 | 0 | 11 | 2 | .171 | .239 | .244 | .483 | |
통산: 11년 | 698 | 2317 | 1969 | 294 | 522 | 107 | 8 | 30 | 735 | 161 | 94 | 33 | 79 | 10 | 239 | 2 | 20 | 400 | 24 | .265 | .349 | .373 | .722 |
- JA전농 Go・Go상 1회 수상 (최다 2루타, 3루타상: 2012년 8월)
6. 2. 연도별 수비 성적
도단
합
살
살
책
살
비
율
합
살
살
책
살
비
율
합
살
살
책
살
비
율
합
살
살
책
살
비
율